사과나무 병충해

꽃썩음병(화부병)

행설 2014. 2. 25. 22:48

꽃썩음병(화부병;花腐病)
1. 병징과 진단
꽃썩음병(화부병; 花腐病) 이른 봄부터 6월 상순까지 발생하며 잎, 꽃, 어린 과실에 발병한다. 잎이 전개된 후 어린잎의 주맥으로부터 잎맥에 길이 2~3㎝ 정도의 적갈색의 변색부를 나타내고 썩는데 심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마른다. 꽃은 병에 걸린 지 2~3일 이내에 갈색으로 변하여 서리 피해를 받은 것과 같이 말라 죽게 되며, 과실은 어린 과실의 일부 또는 반에 썩은 반점이 나타나고 병반이 진전되면서 과실 표면이 움푹 들어가고 황갈색의 물방울이 맺힌다.

2. 병원균
자낭균의 일종으로 균핵 및 자실체를 형성하고 자낭포자와 대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자실체는 부패된 이병과에서 발생하지만 자낭반 형성에는 0~2℃의 저온이 20일 이상 경과해야 한다. 자낭포자는 무색으로 단포이며 타원형이며 크기는 8.8~9.6×3.1~3.6㎛이고, 균사의 생육적온은 18~23℃이다.
3. 발생생태
봄철 개화기에 비가 자주 내려 기온이 낮고 다습하여 밤과 낮의 온도차가 심하면 발생한다. 홍옥, 얼리블레이즈 품종은 꽃썩음 증상에 약하고 후지, 육오 품종은 과실 썩음 증상에 약하다 이른 봄에 균핵으로부터 자실체가 형성되고 그 위에 자낭포자가 형성된다.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개화기의 어린잎이나 꽃에 침입하여 잎썩음과 꽃썩음이 나타나고 여기서 만들어진 분생포자가 개화 중 암술머리에 침입하여 과실 썩음을 일으킨다. 꽃썩음증상은 병원균이 직접 꽃을 침입하여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잎썩음증상의 진행에 의해 화총의 기부가 감염되어 직접 병원균의 침해를 받지 않은 꽃과 잎이 시드는 것이다. 화총의 기부로부터 병반이 거꾸로 잎자루, 중맥, 엽맥순으로 갈변하면서 갈비뼈 모양의 병반을 형성한다. 병든 과실은 6월중 하순에 땅에 떨어져 균핵으로 되어 월동한 후 이듬해 전염원이 된다. 잎의 발병은 주로 개화기 직전부터 6월 상순까지 볼 수 있다.
4. 방제
자실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원을 건조하게 하고 발아 7~10일 경 10a당 소석회 30~40㎏을 시용하며, 전년도 병든 낙엽을 제거하여 다음해 과원내 1차 전염원을 제거한다. 병든 부위는 빨리 제거하여 2차전염을 막는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88. 과수 병해 생태와 방제. 농업기술연구소.
농촌진흥청. 1997. 표준영농교본-62 과수 병해충.
APS press. 1990.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사과•배의 병 진단과 방제.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이동혁
전화 : 054-380-3170

'사과나무 병충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혹병  (0) 2014.02.25
바이로이드병   (0) 2014.02.25
겹무늬썩음병  (0) 2014.02.25
점무늬낙엽병과 갈색무늬병 병반  (0) 2014.02.25
흰비단병  (0) 2014.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