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겹무늬썩음병 발생생태와 방제
1. 병징
사과 겹무늬썩음병은 주로 수확기 과일에 겹무늬 모양의 갈색 윤문이 나타나면서 썩는 병을 말하는데 최근의 연구결과 사과나무 가지에 발생하는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동일 병원균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표 1, 그림 1, 2). 이러한 사마귀 증상은 사과나무 2~3년생 가지에는 심하게 형성되면 가지 전체가 고사한다. 또한 주간과 같은 굵은 가지에 형성된 사마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피 증상으로 바뀌어 다른 병원균의 침입도 용이하게 하여, 나무 전체의 수세를 약화시켜 사과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고, 결국 사과나무의 경제 수령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그림 3).
그림 1.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병징
그림 2. 사과 겹무늬썩음병균에 의하여 사과나무 가지에 형성된 사마귀 모양의 병징
그림 3. 사과겹무늬썩음병균에 의한 사과주간의 피해
2. 병원균과 전염원
사과 겹무늬썩음병 및 사과나무 가지의 사마귀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병자각을 형성하는 균으로서 완전세대는 botryosphaeria dothidea이고 그 불완전세대가 dothiorella mali이다. 이 병원균의 병자각 모양은 타원형 내지는 원형에 가깝고 7.5㎛×26㎛ 정도 크기의 병포자가 무수히 내생하고 있다(그림 4). 병포자가 기주체의 상처나 피목등을 침입하면 부란병과 같이 타원형으로 썩어들어 가거나 사마귀를 형성시키며 그 위에 까만 돌기 모양의 병자각이 밀생되며 7~8월의 기온이 높아지고 습도가 알맞으면 병자각내의 병포자가 실모양으로 대량으로 분출하여 비나 바람 등에 의한 전염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병원균은 사과나무 가지에 사마귀 모양의 돌기를 형성시켜 그 속에 병자각을 만들어 월동 하다가 이듬해 봄부터 수확기까지 끊임없이 전염시키고 있으므로 방제에 있어서도 매우 어려운 병이다. 한편 과일에 감염이 되면 초기에 병반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윤문을 형성하며 병진전 속도가 빠를 경우 동심원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과피 아래 부위에 까만 병자각이 수없이 밀생하여 이 상태로 월동하기도 한다.
그림 4. 사과가지와 과일에 형성된 사과겹무늬썩음병균의 병자각과 포자
3. 감염시기와 발병 환경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자낭포자나 병포자는 5월경부터 10월 사이에 비가 많이 오거나 자주올 때 많이 발생하는데 6월 하순부터 7월 사이 어린 가지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태풍이나 강한 바람 등에 의한 가지의 상처를 통하여 침입이 되기도 한다. 한편 과일에 부패병징은 8월 중순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과일의 당도가 높아질수록 많이 발생하고 있다. 침입 경로를 보면 과피의 기공을 통하여 침입하는 것보다 과점을 통한 침입이 훨씬 용이한데 이는 기공의 크기보다 과점의 크기가 크고 기공은 외부의 환경 조건에 따라 급속하게 개폐되기 때문에 병원균의 침입이 어렵다.
과점은 유과기에는 비교적 작지만 성숙 비대해짐에 따라 점차 확장되다가 8월 이후 구열이 되어 유조직이 노출되므로 병원균의 침입이 더욱 용이해 진다. 병원균이 침입되면 잠복기를 거쳐서 발병되기 시작하는데 여기에는 과실내의 성분 변화와 기온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8월 중순 이후 발병이 급격히 높아 가는 것은 과일의 당 함량이 약 9.0으로 높아지고 산 함량은 0.5%까지 저하함으로써 발병조건이 좋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4. 방제대책
본 병의 방제방법 중 가장 확실한 방제 대책은 6월부터 9월까지 봉지를 씌워 병원균의 침입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방제 약제를 6월부터 9월까지 10일 간격으로 살포함으로써 우수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표 2). 이와 같은 결과는 6월부터 9월 사이가 병포자의 비산량이 많고 또한 과실이 감염되기 쉬운 시기라는 점에서 이 기간 중에는 방제 효과가 매우 높다. 또한 병원균은 일단 기주체에 침입이 되면 방제가 곤란하므로 병원균이 발생하는 시기를 놓치지 말고 적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아카시아의 가지에 형성된 사마귀 모양의 돌기에서 분리된 병원균이 사과나무에 사마귀를 형성하고 병반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표 1, 그림 5, 6). 우리 나라에서는 경사가 완만한 산지를 개간하여 과수원을 조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수원 주위에는 사과 겹무늬썩음병균에 감염된 아카시아 가지에 형성된 사마귀로부터 병포자가 비산되어 사과나무에 전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사과나무에 사마귀 형성과 과일이 부패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과수원 주위의 아카시아 등 전염원이 되는 것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5. 사과 겹무늬썩음병균에 의하여 아카시아 가지에 형성된 병징(사마귀 모양의 돌기)
표 1. 사과나무와 아카시아 사마귀 및 이병된 사과 과일에서 분리한 겹무늬썩음병균의 사과나무 (후지)가지상의 사마귀 형성 및 병반 형성
균주 |
분리 부위 |
사마귀 형성 |
병반크기(㎛) |
i-8 |
사과나무사마귀 |
++ |
55 |
주) : 접종 부위에 4~5개의 사마귀 형성 ++ : 접종 부위에 6~10개의 사마귀 형성
표 2.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방제약제 및 사용 방법
방제약제 |
사용적기 |
물20ℓ(1말)당 사용약량 |
300평당 사용약량 |
안전사용 기준시기 |
안전사용 기준횟수 |
타로동수화제 (한아름) |
6월중순부터 9월상순까지 10일 간격 |
40g |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골고루 뿌림 |
수확30일전 까지 사용 |
5회이내 |
아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액제 (베푸란,금박나) |
" |
20㎖ |
" |
수확30일전 까지 사용 |
5회이내 |
제노밀수화제 (벤레이트,두루다, 다코스) |
" |
13g |
" |
수확7일전 까지 사용 |
6회이내 |
마니탄수화제 (시스텐) |
6월중순부터 10일간격 |
20g |
" |
수확20일전 까지 사용 |
8회이내 |
만코지과립수화제 (신기원) |
" |
40g |
" |
수확30일전 까지 사용 |
5회이내 |
훼나리,만코지수화제 (아시원) |
6월상순부터 10일간격 |
40g |
" |
수확21일전 까지 사용 |
3회이내 |
지오판, 리프졸수화제 (존타임) |
20g |
" |
수확7일전 까지 사용 |
3회이내 | |
비타놀수화제 (바이코) |
8g |
" |
수확14일전 까지 사용 |
- | |
마이탄, 디치액상수화제 (우리만) |
6월중순부터 10일간격 |
20㎖ |
" |
수확20일전 까지 사용 |
8회이내 |
디치,지오판수화제 (델란티) |
" |
20g |
" |
수확20일전 까지 사용 |
6회이내 |
후루아지남액상수화제 (실바코) |
" |
10㎖ |
" |
수확45일전 까지 사용 |
7회이내 |
쿠퍼하이드록사이드 과립수화제 |
" |
20g |
" |
- |
- |
디페노코나졸수화제 (푸르겐) |
" |
10g |
" |
수확3일전 까지 사용 |
6회이내 |
후루실라졸수화제 (누스타) |
" |
20g |
" |
수확21일전 까지 사용 |
6회이내 |
펜부코나졸수화제 (인다) |
" |
40g |
" |
수확7일전 까지 사용 |
7회이내 |
싸이프로코나졸액제 (아테미) |
" |
5㎖ |
" |
수확40일전 까지 사용 |
7회이내 |
비타놀,프로피수화제 |
6월상순부터 10일간격 |
40g |
" |
수확14일전 까지 사용 |
- |
펜부코나졸, 차담수화제 |
6월중순부터 10일간격 |
40g |
" |
수확14일전 까지 사용 |
5회이내 |
훼나리,옥시동수화제 (아리조아) |
6월상순부터 10일간격 |
20g |
" |
수확21일전 까지 사용 |
5회이내 |
펜부코나졸, 만코지수화제(인다센) |
6월중순부터 10일간격 |
40g |
" |
수확30일전 까지 사용 |
5회이내 |
타로닐, 프로피수화제 (돌풍) |
6월하순부터 10일간격 |
40g |
" |
수확30일전 까지 사용 |
5회이내 |
참 고 문 헌
김성봉. 1988. 사과겹무늬썩음병에 관한 연구:병원, 발생성장, 약제방제 및 저항성, 원광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농약공업협회. 1996. 농약사용지침서.
홍연규 외. 1989. botryospaeria dothidea에 의한 사과나무 사마 귀 형성의 병원학 및 병태조직학적 고찰. 한식병지.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과학기술원
성명 : 예완해
전화 : 031-290-0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