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무늬낙엽병, 갈색무늬병 병반 형태
활용제목명 |
사과 잎에서 점무늬낙엽병, 갈색무늬병 병반 형태의 차이 /작물보호/ | |||||||
활용분야 |
작물보호 | |||||||
활용내용요약 |
사과 점무늬낙엽병과 갈색무늬병의 병반 진전 단계별 차이를 구분 하여 정확한 병해의 진단 및 대책 제시 가능 | |||||||
연구과제명 |
주요 병해충, 잡초 요방제 수준 설정 연구 |
사업구분 | ||||||
세부과제명 |
사과 갈색무늬병 요방제수준 설정 시험 |
농특 | ||||||
구 분 |
분 야 |
작물보호 |
작 목 |
FT-01-601 |
색인어 |
사과, 병, 해충, 프로그램 | ||
연구개발자 |
소속기관 |
성명 |
전화 및 e-mail주소 | |||||
원예연구소 사과시험장 |
이동혁 |
054-380-3170 |
apple@rda.go.kr | |||||
공동개발자 |
〃 |
이순원 |
054-380-3171 |
lee1235@rda.go.kr | ||||
〃 |
최경희 |
054-380-3175 |
choikh@rda.go.kr |
Ⅰ. 요 약
1. 활용
가. 사과 잎에서 발생하는 점무늬낙엽병과 갈색무늬병의 정확한 병징 구분으로 적기 병해 방제에 활용
나. 시군 농업기술센터, IPM 예찰요원, 농약시판상 및 농민 등이 활용 가능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 없음
3. 현황 및 문제점
가. ’02년 5월상순경부터 전국 사과 주산지의 저수고 밀식재배 사과원에서 조기 낙엽증상이 많이 관찰됨
나. 후지품종에서 사과잎이 황변하여 떨어지는 병 증상은 대부분이 생리장해 또는 갈색무늬병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5~6월 조기 낙엽증상은 점무늬낙엽병균에 의한 것이 많음
다. 갈색무늬병과 점무늬낙엽병에 따른 사과 잎의 병 증상(황변후 낙엽증상)은 매우 유사하여 포장에서의 진단상 큰 어려움이 있으며, 병징의 혼동으로 인한 약제의 오남용 사례 다발
4. 주요연구결과(’03~, 사과시)
그림 1. 사과 점무늬낙엽병 및 갈색무늬병 병든 잎 증상
(점무늬낙엽병 증상 및 병원균 분생포자)
(갈색무늬병 이병엽 증상 및 병원균분생포자)
<표 1> 사과 점무늬낙엽병 및 갈색무늬병의 병반 진행 정도별 차이점
구분 |
점무늬낙엽병 |
갈색무늬병 |
○ 초기 병징 -병반 가장자리 |
- 노란색, 갈색으로 변색 |
- 짙은 갈색의 小粒 형성 |
○ 중기 병징 -분생자층 형성 (흑색 小粒 형태) |
- 없음 |
- 다량 형성 - 0.5 ~ 1.2 mm |
○ 후기 병징 - 소형 반점 형성
|
- 갈색의 타원형 혹은 원형 반점 형성 - 크기 : 3 ~ 10 mm |
- 반점 형성 없음
|
구분 점무늬낙엽병 갈색무늬병
○ 초기 병징
-병반 가장자리
- 노란색, 갈색으로 변색 - 짙은 갈색의 小粒 형성
○ 중기 병징
-분생자층 형성
(흑색 小粒 형태) - 없음
- 다량 형성
- 0.5 ~ 1.2 mm
○ 후기 병징
- 소형 반점 형성
- 갈색의 타원형 혹은 원형
반점 형성
- 크기 : 3 ~ 10 mm - 반점 형성 없음
5. 기대효과
가. 5~6월상준경 M9. 저수고 밀식재배 사과원에서 발생하는 특이적 병해증상
원인구명으로 발생농가의 불안 해소
나. 원인에 따른 예방 및 방제 대책 제시 가능
6. 개발기술의 활용방법
○ 사과 점무늬낙엽병은 초기 병반 가장자리가 노란색, 갈색, 자주색으로 변색되며, 중기에는 분생자층의 형성이 없으며, 후기에는 반점의 형태로 진행되는 특징으로 갈색무늬병과 구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