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혹병
1. 병징과 진단
뿌리혹병(근두암종병; 根頭癌腫病)은 병원균의 침입에 의해 혹이 발생하며 크기는 지름이 수 mm 이상으로 발생부위는 주로 뿌리 및 지제부 밑의 줄기에 발병되나 가끔 지상부 줄기에 상처를 통해 발병하기도 한다. 구조학적으로 볼 때 통도조직, 표피조직의 이상적인 분열에 의해서 혹을 형성한다. 또한 혹조직은 통도조직과 표피조직의 양에 따라 연한 것에서 딱딱한 스폰지 형태 등 다양하다. 어린 묘목이나 나무의 주근에 심하게 발생하면 수세가 약해져서 그 피해가 겉으로 나타나나, 측근에 나타나거나 병 발생이 적을 때에는 나무 자람에 큰 영향이 없어 피해증상이 겉으로 잘 나타나지 않는다.
2. 병원균
세균의 일종으로 막대모양의 간상형이며 크기는 0.6~1.0×1.5~3.0㎛이다. 호기성이며 그람 음성균으로 1~6개의 편모를 가지며 운동성이 있다.
3. 발생생태
이 병은 1915년경에 충남 조치원 근방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일본에서 수입한 사과나무 묘목에 의해 전반된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이 병은 사과나무나 배나무재배 전 지역으로 확산되어 있다. 이 병의 기주범위는 사과나무, 배나무, 포도나무, 감나무, 장미, 토마토 등 93속의 식물과 대부분의 쌍자엽 식물에 모두 침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균이 있는 토양에서 빗물, 농기구, 바람, 곤충, 동물 및 묘목의 이동 등에 의해 쉽게 인근 건전식물로 전파가 가능하다.
4. 방제
묘목을 심기 전에 병든 묘목을 제거하고 스트렙토마이신 등 항생제 액에 침지 후 심는다. 또한 묘목을 심을 때 상처를 최소화한다.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소각하고 흙을 훈증소독하며 그 자리에는 4~5년간 재배하지 않는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7. 표준영농교본-62 과수 병해충.
1988. 과수 병해 생태와 방제. 농업기술연구소.
APS press. 1990.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사과•배의 병 진단과 방제.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동혁 (전화 : 054-380-3170)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이동혁
전화 : 054-380-3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