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별무늬병
1. 병징과 진단
검은별무늬병(흑성병; 黑星病)은 잎, 잎자루, 꽃, 꽃받침, 과실, 과경 및 가지에 발생하나 주로 잎, 과실에서 발생한다. 잎 앞면에 직경 2~3mm의 녹황색 반점이 나타나고 갈색의 가루가 덮여 있는 형태가 되는데 이 가루가 병원균의 분생포자이며 분산하여 새로운 병반을 만들게 된다. 시간이 경과하면 잎 표면이 부풀어 오르고 여름이 되면 표면의 분생포자가 소실된다. 과실에서는 1~2mm의 흑색 반점이 나타나 과실의 비대와 함께 표면에 균열이 생기고 기형과가 된다. 드물지만 발생이 심한 경우에는 가지에서도 발생하는데 표면이 거칠어지고 껍질이 터져 흑색 병반이 형성된다.
중간기주식물로는 가이즈가향나무, 섬향나무, 참향나무 등의 향나무류가 있다.
2. 병원균
병원균은 Venturia inaequalis 로서 자낭균(子囊菌)에 속하며 전년도의 병든 잎에 자좌를 형성하고 그 속에 자낭과가 형성되며 자낭포자(子囊胞子), 분생포자(分生胞子)를 형성한다. 자낭각은 구형으로 흑색이고 직경 90~150μm이며 자낭각당 50~100개 정도의 자낭을 함유하고 있다. 자낭은 곤봉형으로 무색이며 크기는 55~75×6~12μm이며 8개의 자낭포자를 함유하고 있다. 자낭포자는 담황록색~황갈색으로 장타원형이며 2세포이고 크기는 11~15×5~7μm인데 아래쪽 세포보다 위쪽 세포가 더 짧고 넓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물결무늬이다. 분생포자는 암갈색으로 난형~방추형이며 한 쪽이 좁으며 단세포이고 크기는 12~22×6~9μm이다.
그림 3. 검은별무늬병 분생포자
3. 발생생태
병든 잎과 과실에서 자낭각 형태로 월동한다. 또한, 해양성 기후에서는 가지 병반상에 균사로 월동하기도 하지만 그 밖의 지역에서는 흔치 않다. 가을에 균사체를 형성하고 낙엽한 후 4주 이내에 대부분의 자낭각이 형성된다. 동면기 후에(온도 0℃) 자낭각은 계속해서 성숙하며 자낭과 자낭포자가 발달한다. 습기가 자낭각 발달에 필요하다. 자낭각 발달에 최적온도 범위는 8~12℃이며 자낭포자 성숙의 최적온도는 16~18℃이다. 사과원의 월동엽이 젖어 들어감에 따라 성숙한 자낭이 주공을 통해 팽창하며 자낭포자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것은 바람에 의해 분산되며 이들이 1차감염을 시작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발아기경에 1차 자낭포자가 성숙하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자낭포자는 계속 성숙하며 5~9주 동안 포자방출은 계속된다. 자낭포자 최대분산 시기는 보통 개화 직전과 만개기 사이에 일어난다. 자낭포자가 얇은 층의 습기가 찬 상태의 잎이나 과실표면에 부착되면 포자가 발아하며 감염은 1~26℃ 온도범위에서 일어난다. 균이 일단 큐티클층을 통과하면 육안으로 보이는 병반상에 분생자경,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여름철 병 발생의 주요 전염원이 된다. 이 병은 전세계 대부분의 사과 재배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가장 중요한 사과병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2년 미국 Maryland에서 도입된 378주의 사과나무 가운데 수원, 대전, 전주에 심겨진 55주의 묘목에서 최초로 발생이 확인되었다. 즉각적으로 실시된 박멸프로그램에 의해 그 후 병 발생보고는 없었으나 1990년부터 1992년까지 경북 청송 지방을 위시하여 영주, 의성, 봉화, 경주, 영천 등지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힌 바 있다. 그 후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청송, 거창, 무주 등지의 극히 일부 사과원에서 발생하였으며, 1997년 이후부터는 병 발생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방제
사과원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 배수관리를 철저히 하며 병든 잎, 과실은 불에 태우거나 땅 속 깊이 묻는다. 외국에서 병 발생이 심할 경우에는 가을철 낙엽에 질소질 비료를 살포하여 겨울철 동안 잎의 분해율을 높임으로써 월동 전염원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겨울이 건조하고 추운 기상조건에서는 실용화 가능성이 적다. 봄철 1차 감염시기의 방제가 가장 중요하므로 4월 중순~5월 중순에 점무늬낙엽병, 붉은별무늬병, 그을음(점무늬)병의 방제와 겸하여 적용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7. 표준영농교본-62 과수 병해충.
농촌진흥청. 1988. 과수 병해 생태와 방제. 농업기술연구소.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사과•배의 병 진단과 방제.
APS press. 1990.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이동혁
전화 : 054-380-3170
'사과나무 병충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로이드 병 (0) | 2014.02.25 |
---|---|
그을음병/그을음점무늬병 (0) | 2014.02.25 |
갈색무늬병(갈반병) (0) | 2014.02.25 |
조피증상 (0) | 2014.02.25 |
밀증상 (0) | 201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