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피증상 = 적진병
적진병은 8월 중하순경에 1년생 신초에 작은 돌기가 생겨 차차 부풀어 발진상으로 된다. 수령이 진전됨에 따라 수피가 윤뮨상으로 찢어지거나 함몰이 생겨 특유의 적진현상을 나타낸다. 이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는 뿌리의 생육이 불량해져서 수세가 쇠약해지고 수량감소 등의 현상이 뒤따라 나타난다. 증상이 심하면 신초와 2~3년생 가지의 표면에 울퉁불퉁한 융기증상이 나타나며 이 부분의 내부조직에는 검은 색의 죽은 부분이 생기고 가지의 선단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말라 죽는다. 적진병은 신초고사현상과 흡사한 점이 많으나 잎눈이 제대로 발아하는 점이 다르다. 발생이 심한 품종은 데리셔스계, 후지, 국광 등이다.
그림 1. 사과나무에 발생한 적진병 : 조피증상
2. 발생하기 쉬운 조건
지하수위가 높거나 유효토심이 얕은 토양 및 건습의 반복이 심한 토양,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의 염기함량이 적은 강산성 토양에서 많이 발생한다. 적진증상이 나타난 나무는 건전수에 비하여 각 부위에서 망간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망간과잉장해’라고도 한다. 배수불량, 토양의 강산성화, 토양의 건조는 불가급태의 망간을 가급태 망간으로 변화시켜 사과나무가 많이 흡수하여 발생이 많게 된다. 대목 중 환엽해당은 삼엽해당보다, M26대목은 MM106대목보다 발생이 적다.
3. 방지대책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의 pH를 6.0정도까지 교정한다. 석회시용 방법으로는 폭과 깊이가 50㎝정도 되는 도랑을 나무 주위에 파고 뿌리가 많은 하층토를 중심으로 고토석회 3㎏정도를 퇴비, 흙과 잘 섞어 넣어준다. 배수불량지에서는 암거배수조치를 하여 배수를 양호하게 한다. 질소비료를 과용하지 않도록 하고 건조시에는 짚 등으로 덮어주어 토양의 건조를 방지한다. 적진병이 발생한 나무는 착과량을 줄이고 절단전정 등으로 수세회복을 도모한다.
참 고 문 헌
김정호 외. 1991. 과수원예각론. 향문사.
오왕근 외. 1989. 개정판 과수원 토양관리와 비료. 제삼기획.
임열재. 1982. 왜성 사과나무 수피괴사현상발현에 관여하는 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윤익구 (전화 : 031-240-3684)
출처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09. 1. 2
'사과나무 병충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별무늬병(흑성병) (0) | 2014.02.25 |
---|---|
갈색무늬병(갈반병) (0) | 2014.02.25 |
밀증상 (0) | 2014.02.25 |
동녹 (0) | 2014.02.25 |
흰무늬병 (0) | 201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