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4일 봉화군 내 전옵사를 통해 농업용전기 신청
6월 7일 한전봉화대리점 전기신청 접수되었다는 문자 받음
7월 26일 사용전 점검 결과 적합 판정 문자 받음
전업사 공사대금 32만원, 한국전력 18만원, 합 약 50만원 소요.
농업용 전기를 신청할려면 농업용 전기 사용 목적에 맞는 작물재배용 하우스나 지하수 관정 혹은 우물, 물이 흐르는 개울, 등과 양수기 및 양수기 하우스가 설치거 있어야 한다.
농지 옆으로 흐르는 개울 사진과 양수기 하우스를 동네 이장님댁의 3공 시멘트 블록 12장을 10,000원 드리고 철물점에서 사모래 1포, 흙손, 아파트 쓰레기 장에 버려진 씽크대 문짝과 합판, 등으로 양수기 하우스를 짓고 직장 동료에게 얻어 온 공업공 중고 양수기를 하우스에 넣고 스마트 폰으로 시진을 찍어 전업사에 토지대장, 양수기 하우스 사진, 개울 사진, 주민등록증 사본을 팩스로 보내서 농업용 전기 신청.
몇일 후 한전 전기설계 담당직원이 현장에서 전화로 농업용 전기 신설을 할 수 없다고 한다.
사유인 즉 320번지 중앙 상단 부에 농관이 있고 옆에 별도의 전주와 농업용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어 동일 필지에 2개 이상의 전기를 설치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추가로 전기를 신청하는 이유는 기존의 전기 계량기가 전체 농지의 중앙 외관에 있기 때문에 농지 상단돠 하단 끝까지 전기줄을 연결하여 사용할려면 상당히 위험하고 번거롭기 때문인데, 한전 내부 규정이 그렇다니. 해서 다시 봉화 한전지점을 방문하여 사유를 설명하고 설치지점을 321번지 하단 끝에 설치 신청을 한 후 전기 설계 담당직원이 현장
실사를 해서 설치 가능 여부를 기다리던 중 설계 당당직원이 현장에서 전화를 해서 320번지에 있는 전기로 321번지 농지를 경작하기에는 농업인의 애로가 예상되고 기존 전기와 지번이 틀리기 때문에 설치가 가능하다고 한다. 단 향 후 전기를 철거 할 때는 농업인 부담으로 전주를 철거해야 하고 비용이 설치비보다 몇 배 많이 들 수 있으니 신청인이 잘 생각해서 결정하라고 한다.
내가 경작에 지장을 주지 않고 전기 사용 거리를 적절하게 분배한 위치에 고추지지대에 빨간 고무코팅 장잡을 끼워서 세워 놓았으니 가능하면 내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를 부탁드리고 얼마 후 가서 보니 내가 표시한 위치에 전주를 세워서 전기줄을 연결 놓았다.
그리고 몇일 후 전업사에서 전주가 설치되었냐고 질문 전화를 받고 전주와 전기줄이 연결 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빠른 시일 내에 계량기를 설치하고 연락을 할테니 그때 공사대금을 결재하면 농업용 전기 설치가 완료되고 한전에서 사후 개통 및 안전 점검을 하고 문자로 점검 결과 안전하면 설치 종료.
'귀농귀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3월 9일(이월 초하루) 마을 윳놀이 (0) | 2016.03.10 |
---|---|
유기질 비료 신청 (0) | 2013.01.21 |
비닐하우스 짓기 2 (0) | 2012.05.31 |
비닐하우스 짓기 1 (0) | 2012.05.31 |
귀농을 준비하면서 (0) | 201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