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나무 병충해

사과의 생리장해와 방지대책

행설 2014. 2. 26. 16:57

사과의 생리장해와 방지대책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윤익구
전화 : 031-240-3684

사과 과수원의 합리적인 경영은 품질이 양호한 과실을 격년결과 없이 매년 많이 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수체내에 과부족되는 성분이 없이 항상 적당한 영양상태를 유지 하도록 비배관리를 잘 해주어야 한다.
수체의 영양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은 잎의 색깔, 크기, 새가지의 신장 정도 등을 육안으로 보아서 하는 달관적인 방법도 있겠으나 이 방법은 오랜 경험이 없이는 매우 어렵다. 또한 일부 비료요소의 전형적인 과부족 증상을 제외하고는 그 증상의 원인이 혼동되므로 어느 성분을 어느 정도의 양으로 주어야 좋을지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비료요소의 과부족에 의하여 유발되는 생리장해는 일단 증상이 나타나면 치유되는데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고 특히 과실에 증상이 나타나면 상품가치가 없게 되므로 사전방지에 주력하여야 한다.
사전방지를 위해서는 비료요소의 편중적인 시비로 인하여 다른 비료요소의 흡수가 억제되어 외관상으로는 영양상태가 정상인것 같지만 계속하여 똑같은 편중 시비를 하면 생리장해가 유발될 우려가 있는 잠재적 생리장해를 미리 알아내야 한다. 잠재적 생리장해는 오랜 경험자의 달관조사로도 발견해 내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정확한 영양상태를 진단하여 잠재적인 생리장해를 예측하고 특정 비료요소의 과부족상태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식물체의 일부를 채취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식물체가 재배되고 있는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분석하여 검토해 보아야 한다.
따라서 영양진단이라고 하면 수체내 각종 비료요소의 함량을 측정하고 토양의 이화학성을 분석함으로써 수체내 비료요소의 과부족원인을 구명하여 적정시비량을 찾아내는 과정을 말한다.
비료요소의 과부족에 따른 수체내 양분변화는 잎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이 나타나므로 영양진단은 주로 엽분석을 통하여 실시한다. 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 시기는 신초생장이 정지되고 잎의 무기성분 농도의 변화가 적은 시기가 좋으므로 사과나무의 경우는 7월 하순~8월 상순이 채취적기이다. 시료채취방법은 조사과원의 대표적인 나무를 5~10주 선정하여 각 나무의 수관 바깥둘레의 눈높이에 있는 새가지의 중간 부위에 있는 건전한 잎을 10~20매씩 도합 100매정도를 채취한다. 표 1은 후지 사과의 영양진단을 위한 기준치를 설정한 것이다. 이 기준치를 이용하면 영양원소의 과부족을 판단할 수 있다.

1.사과엽의 무기성분 기준농도

영 양 원 소

표 준 치

기 준 농 도

정상과원율 (%)

부 족

정 상

과 다

N (%)
P (%)
K (%)
Ca (%)
Mg (%)
B (ppm)

2.7
  0.17
  1.28
1.1
  0.31
37.5  

2.07
0.13
0.57
0.52
0.16
7.7  

2.49~2.92
0.16~0.19
1.04~1.51
0.91~1.30
0.26~0.36
27.6~47.4

3.34
0.22
1.98
1.69
0.46
67.1

65.5
59.2
66.5
58.7
55.8
74.8

자료 : 원시연보. 1987. 과수편 p.50.


우리나라의 토양은 화강암이 모재로서 붕소의 함량이 부족하므로(표 2) 개원시 붕소를 시용(2~3년마다 붕소 3㎏/10a)해야 한다. 그러나 너무 많이 시용하면 과다증상(표 3)이 발생한다. 또한 과실내 Ca함량이 부족하면 반점성장해(고두병, cork spot, 홍옥반점병)가 발생(표 4)하여 품질을 저해시킨다.

2. 붕소결핍원의 토양내 붕소함량과 식물체의 붕소함량

조사과원

토양내 붕소함량 (ppm)

식물체 붕소함량 (ppm)

수 피

결핍원
정상원

0.18
0.37

17.1
32.8

21
31.7



3. 수경재배시 붕소시용 수준에 따른 사과의 엽병 만곡현상의 발생율 및 발생정도와 엽내 붕소함량

(원시연보 : 1977)

붕소수준 (ppm)

만 곡 엽 병

붕소함량 (ppm)

발생율 (%)

발생정도

0.5
4
8
12

0
  3.3
61.5
62.3

0
+
++
++

  75
209
347
393


 

4. 수경액의 칼슘농도와 골든/환엽해당 의 고두병 발생

수경액의 칼슘농도 (ppm)

과실중의 칼슘함량 (dw ppm)

고두병 발생률 (%)

  15
115

  96
122

19.2
  2.1


 

고두병에 대한 대책은 응급조치로는 0.3% CaCl2를 생육기에 4~5회 엽면살포하고 토양내 석회를 시용하고 한발시 관수를 한다(표 5).

5. 처리별 수확시와 수확후 120일 저장시 고두병 발생율(농시연보 : 1970)

처 리

고두병 발생률 (%)

Ca(NO3)2 0.5% 5회엽면살포
CaCl2 0.5% 5
"
소석회 시용(25/)
무 처 리

  4.08
  1.26
  1.52
14.98

2.47
1.33
1.26
8.53

  7.36
  7.94
  8.48
12.6 

13.91
10.52
11.26
39.48



6. 수경재배시 Mn시용수준에 따른 사과 Delicious 품종의 적진병 발현 정도 및 엽내 Mn함량

(crocker : 1973)

Mn농도 (ppm)

부족Ca(53.3ppm)

정상Ca(160ppm)

적진병발현정도

Mn(ppm)

적진병발현정도

Mn(ppm)

0
25
50
75
100

1.00
1.50
2.50
2.75
3.75

120.8
500.1
703.0
996.1
1,168

1.00
1.25
1.25
2.25
2.50

  80.0
191.0
329.0
462.3
629.0


 

또한 토양 pH가 5.5 이하가 되면 토양중에 Mn이 Mn2+의 형태가 되어 과잉흡수되므로 적진병을 유발한다. 대책으로는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 PH를 6.0정도로 조정하고 M26 대목을 이용하여 재배하며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사과의 생리장해 예방은 3~5년마다 영양진단을 실시하여 생리장해의 발생을 미리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08. 12. 29


'사과나무 병충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약의 작물 약해  (0) 2014.02.26
열매터짐 (열과)  (0) 2014.02.26
비료의 요소와 생리적 역할   (0) 2014.02.26
망간과잉(적진병)및 결핍증상  (0) 2014.02.26
사과 병해 발생 개황  (0) 201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