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끼제거
활용제목 |
초산을 이용한 만생종 사과나무 줄기 및 과실의 청태(이끼포자) 제거 | |||||||
활용분야 |
과수 | |||||||
활용내용요약 |
청태(이끼포자) 발생이 심한 만생종 사과원에 동계기에 초산 1.5%를 1회, 착색기인 9월~10월에 초산 0.4%를 2회 정도 살포하면 줄기 및 과실에 부착된 청태(이끼포자)를 제거할 수 있음 | |||||||
연구과제 |
사과 품질향상을 위한 이끼포자 방제기술 개발 |
사업구분 | ||||||
세부과제 |
사과원 이끼포자류 발생생태 및 방제에 관한 연구 |
기관고유 | ||||||
구 분 |
분 야 |
과수 |
작 목 |
사과 |
색인어 |
사과, 청태, 이끼포자, 초산 | ||
연구개발자 |
소속기관 |
성명 |
전화 및 e-mail주소 | |||||
경북농업기술원 |
이종필 |
053)320-0267 |
lojepine@hanmail.net | |||||
공동개발자 |
안동시 일직면 |
권세원 |
054)858-4633 |
maac120@hanmail.net |
Ⅰ. 요 약
1. 활용
가. 만생종 사과원에서 사과나무에 청태(이끼포자)가 발생할 경우 사과원에 동계기에 초산 1.5%를 1회, 착색기인 9월~10월에 초산 0.4%를 2회 정도 살포하면 줄기 및 과실에 부착된 청태(이끼포자)를 제거할 수 있음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가. 사과원 이끼포자 제거에 관한 유사 영농활용 기술 없음
3. 현황 및 문제점
가. 최근 사과원에 청태(이끼포자)의 발생이 많아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음
나. 특히 사과 과실에 청태(이끼포자)가 발생하면 착색이 불량해지고 외관이 나빠져 판매시 등급 하락 등의 문제가 발생
다. 사과원의 청태(이끼포자) 제거 방법에 관한 농민들의 문의가 많으며 청태(이끼포자) 제거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많음
4. 주요연구결과(2005~200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가. 동계 처리 및 착색기 처리에 따른 주간부 청태(이끼포자) 제거 효과
나. 동계 처리 및 착색기 처리에 따른 과실 과경부 청태(이끼포자) 제거 효과
다. 초산 농도별 생육기 처리시 약해 발생 정도
◦ 약해 발생 정도
◦ 약해 정도
5. 기대효과
가. 사과나무 주간부 청태(이끼포자) 제거로 건강한 수체 관리
나. 과실부 청태(이끼포자) 제거로 과실 착색 및 품질 향상
6. 개발기술의 활용방법
가. 청태(이끼포자) 발생의 주요인은 과수원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이끼의 포자가 과수원으로 날라와 줄기 및 과실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산림 식생이 잘 발달된 산지나 하천 주변에 위치하며 안개 발생이 많거나 강수량이 많아 대기 중 습도가 높고 공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정체되는 지형을 가진 과수원에서 줄기와 과실에 청태(이끼포자)의 발생이 많음
나. 과실에 청태가 끼는 시기는 9월 하순부터 시작되어 수확전인 10하순에 가장 심하므로 청태(이끼포자)의 발생이 심한 만생종 사과원에서는 동계기에 초산 1.5%(v/V)를 1회 살포한 후 반드시 착색기인 9월~10월에 초산 0.4%를 2회 정도 살포해야 함
다. 청태(이끼포자)의 발생이 약한 사과원에서는 동계기에 초산 1.0%를 1회 살포하고 착색기인 9월~10월에 청태(이끼포자)의 발생 정도에 따라 초산 0.4%를 1~2회 정도 살포함
라. 조․중생종 사과 품종들은 과실에 청태(이끼포자)의 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동계기에 청태(이끼포자)의 발생 정도에 따라 초산 1.0% 또는 1.5%를 살포하여 주간부의 청태(이끼포자)를 제거하면 됨
마. 초산은 생육기에 0.5% 이상의 농도로 살포하면 수체 특히 잎에 심각한 약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정 시기에 살포농도를 정밀하게 맞추어 살포해야만 약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음
바. 초산 살포시 다른 농약과 근접 살포를 하지 않도록 해야 함
사. 초산 살포로 과실에 부착된 이끼포자를 제거하더라도 부착되었던 이끼포자에 의해 착색이 되지 않은 부분이 남아 있으므로 적엽, 알돌리기 등을 실시하여 착색을 시켜야 함
아. 과실에 동녹이 생기거나 과피가 거칠어지면 이끼포자가 잘 부착되므로 유과기 동해 방지, 약제 살포압력 조절 등으로 과실 표면을 깨끗하게 관리해야 함
자. 수관 내에 투광성이 나빠지면 줄기나 과실에 이끼포자가 부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므로 결과지 적정 배치 등의 수체관리로 투광이 잘되게 해야 함
차. 초산은 산성 물질로 잘못 사용하면 신체에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취급시 보호 장구로 피부나 눈, 호흡기를 잘 보호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