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재배

사과 수분수용 무측지 품종 메이폴, 투스칸

행설 2014. 2. 26. 17:59

사과 수분수용 무측지 품종 메이폴, 투스칸

활용제목

사과 수분수용 무측지 품종 메이폴 2품종 선발

활용분야

과수

활용내용요약

선발 품종은 메이폴(Maypole), 투스칸(Tuscan) 2품종임

수분수가 부족한 사과원에 필요함

주요 재배 품종과 교배친화성이 높고, 무측지성으로 생장하여 관의 과번무의 우려가 적어서 수분수로써의 특성이 우수함

연구과제

국제기호성 사과 신품종 육성

RIMS 코드 :

사업구분

세부과제

사과 신육성 품종의 교배친화성 구명 시험

기본

구분

분야

작목

FT-01-601

색인어

결실, 화분

연구개발자

소속기관

성명

전화번호

E-mail

원예연 사과시

권순일

054)380-3135

apple-k@rda.go.kr

공동개발자

원예연 사과시

백봉렬

054)380-3132

peakpn@rda.go.kr

경북대학교

053)950-5724

choicc@knu.ac.kr

 

Ⅰ. 요약
1. 활용
가. 신규 개원 사과원 혹은 수분수가 부족한 기존 과원에서 무측지 품종 ‘메이폴’, ‘투스칸’을 수분수로 활용
나. 주요 재배 품종과 교배친화성이 우수하고, 무측지 형태의 생장을 하므로 밀식 장해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음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가. 사과원에서 결실 안정을 위해 수분수용 품종을 혼식하거나, 기존의 수분수용 꽃사과 품종이 선발되어 활용되고 있음
나. 기존의 수분수용 꽃사과 품종은 밀식 재배 과원에서 수령이 증가하면서, 수관의 확대로 과원내 문제점이 나타남
나. 따라서 수관 확대가 적은 무측지 품종을 수분수로 이용함으로써, 밀식재배 과원의 과번무, 착색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결함
3. 현황 및 문제점
가. 수분수용 품종을 혼식함으로서 과실의 수확시기, 병해충 종류와 발생시기가 달라 재배 관리상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
나. 수분수용 꽃사과 품종의 이용시, 수관의 확대에 따른 밀식과원의 과번무, 차광 등으로 병해충 발생 조장 및 과실 품질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음
4. 주요연구결과
표 1. 무측지 품종과 주요 재배품종의 개화기(’06~’07)

개화기간

4

5

개화일수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

2

3

4

5

6

투스칸

16

메이폴

16

쓰가루

13

홍로

15

후지

12

■ : 무측지품종 개화기간, ★ : 무측지품종 만개기, ☆ : 무측지품종 낙화시
▲ : 재배품종 개화기간, △ : 재배품종 만개기, ▽ : 재배품종 낙화시

표 2. 주요 품종의 무측지 품종과의 교배친화성(’07)

주요 품종()

수분수 품종()

종자수/

착과율(%)

메이폴

투스칸

방임수분

8.9

7.7

6.7

78

67

-

쓰가루

메이폴

투스칸

방임수분

7.5

7.1

6.8

72

50

-

메이폴

투스칸

방임수분

7.9

8.6

6.7

70

78

-

 

5. 기대효과
가. 수분수 품종의 다양화로 결실 안정, 정형과 및 상품과 생산으로 농가 소득 증대
나. 수분수 품종의 수관 확대 억제로 과실의 착색 향상 및 병해충 발생 가능성 감소
다. 부분 예산법에 의한 경제적 효과 분석 (단위 : 10a)

손실적 요소(A)

이익적 요소(B)

감소되는 부분

- 혼식 품종 감소 수량

228kg × 3,700/kg = 843,600

증가되는 부분

- (묘목 13×2,000/)÷감가상각비 15

= 1,730

합계(A) : 845,330

감소되는 비용

- 전정 관리 노동력 절감 : 35,000

- 병해충 방제, 상품성 증가 (α)

증가되는 수입

- 단일 품종 수량

228kg × 3,700/kg = 843,600

합계(B) : 878,600 + α

예상수익(B-A) : 878,600 - 845,330 = 33,270 + α


6. 개발기술의 활용방법
가. 수분수용 무측지 품종은 메이폴, 투스칸 임
나. 무측지 수분수 품종은 개화수가 많고, 측지 발생이 극히 적어서 세력이 떨어지기 쉬우므로 묘목 양성 시 대목은 실생대목을 이용하는 것이 좋음
다. 품종 10여주 당 무측지 수분수 1주의 비율(10% 내외)로 재식열(주간)사이에 재식
라. 다음 열에 재식할 때는 같은 위치에 재식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
마. 해에 따라 개화기 차이가 있으므로 메이폴과 투스칸을 7:3 혹은 6:4의 비율로 혼식하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