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재배

사과 무농약 재배

행설 2014. 2. 26. 09:50

영 농 활 용

활용제목

친환경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의 병해충 방제와 피해 실태

활용분야

작물보호

활용내용요약

- 친환경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에서는 병해충 방제를 위해 석회유황합제, 석회보르도액, 식물성오일, 파라핀유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 관행 사과원 대비 병해는 과실에 그을음(점무늬), 해충은 과실에 심식나방류, 신초에 사과혹진딧물의 피해가 많았음

- 사과 무농약유기농업 재배를 위해서는 사전에 문제되는 병해충 발생상황을 면밀히 조사하고, 이에 따른 해당 병해충에 대한 철저한 피해 경감 관리방안 수립이 우선되어야

연구과제

사과원 친환경 병해충 방제 적화방법 시험

사업구분

세부과제

무농약 유기농업 사과원의 병해충 관리 실태조사 실증시험

기관프로젝트

분야

작물보호

과수

색인어

사과, 친환경, 유기농업

연구개발자

소속기관

성명

전화 e-mail주소

원예연구소

이순원

054-380-3171, lee1235@rda.go.kr

공동개발자

원예연구소

이동혁

054-380-3170, apple@rda.go.kr

원예연구소

최경희

054-380-3175, choikh@rda.go.kr

원예연구소

김동아

054-380-3173, kimda@rda.go.kr


Ⅰ. 요 약

1. 활용
가. 친환경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희망) 사과원 및 과수 담당 지도원
나.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희망) 사과원별 문제 병해충의 발생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배적 관리 및 농자재의 선택과 사용 등 병해충 피해를 경감하는 대책 수립에 활용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 없음

3. 현황 및 문제점

가. 최근 친환경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 및 인증희망 사과원이 증가 추세임
(2006년 10월말 현재 유기농산물 4, 무농약농산물 24개원이 인증 받음)
나. 무농약․유기재배 사과원에서 주요 문제 병해충의 발생상황에 대한 사전 조사 가 미흡하고, 유기농업 허용 농자재의 대상 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 미흡으로, 과실의 피해가 극심할 뿐아니라 사과나무의 수세 불안과 세력 저하로 지속적인 사과 재배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음.


4. 주요연구결과

표 1.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의 병해충 관련 친환경 농자재 사용실태(2005〜2006)
 

병해 방제용

해충 방제용

기타 보조제

석회유황합제(17)

석회보르도액(13)

키틴분해미생물제(2)

광석분말(2)

현미식초(1)

마늘추출물(1)

식물성오일(10) 유아등(9)

제충국제(6) 기계유유제(5)

기피제(4) 유인트랩(3)

님제(3) 교미교란제(2)

비눗물(2) 난황유(1)

데리스제(1) 고삼추출물(1)

파라핀유(10)

사과식초(8)

바닷물(7)

봉지씌움(1)

 

* ( )는 조사 17개 사과원중 사용 농가수


표 2.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의 문제 병해충별 피해정도(2005〜2006)

또는 신초

종명

피해정도

종명

피해정도

갈색무늬병(5)

점무늬낙엽병(2)

붉은별무늬병 (1)

27 %

20

5

탄저병(7)

겹무늬썩음병(4)

그을음(점무늬)(4)

9 %

8

32

사과혹진딧물(7)

사과굴나방(2)

사과응애(2)

매실애기잎말이나방(1)

19

30

20

30

복숭아순나방(14)

복숭아심식나방(11)

잎말이나방류(3)

노린재, 흡수나방류(2)

27

13

5

10

* ( )는 조사 17개 사과원중 피해 농가수

표 3. 무농약․유기재배시 문제되는 병해충의 피해 경감에 도움이 되는 관리 대책(2005〜2006)
 

탄저병

주변 40m이내 아카시나무 1차전염 과실 제거

겹무늬썩음병

줄기 사마귀 형성억제 제거, 과실 일소 방지

그을음(점무늬)

적기 봉지(농약 무처리) 씌우기, 석회보르도액

사과혹진딧물

초기 피해잎(탁엽) 제거 피해신초 절단 제거

심식나방류

발생원(핵과류) 제거, 봉지 씌우기, 교미교란제

잎말이나방

과실 주위 웃자란 가지 제거, 교미교란제


5. 기대효과
가. 친환경 무농약․유기농산물 인증 사과원의 실태와 문제점을 제시하므로서, 병해충에 의한 적극적인 피해 예방책 강구
나. 준비되지 않은 사과원의 무분별한 무농약․유기농업 재배 지양으로 피해 방지
다. 경제성분석(석회보르도액 살포로 그을음(점무늬)병 피해 10% 경감사례)

손실적 요소

이익적 요소

감소되는 수입

- 수량감소(kg) X 단가 =

증가되는 비용

- 석회보르도액 자재 = 600,000

- 살포노력 = 111,000

(5시간X7,400X3)

(B) 711,000

증가되는 수입

- 수량증가(kg) X 단가 = 4,706,458

(21,530kg X 0.1 X 2,186)

감소되는 비용

- 투입자재 절약 =

- 노동절약시간 X 노임 =

(A) 4,706,458

추정 수익액 (A-B) = 4,706,000 - 711,000 = 3,995,000 / ha

 

6. 개발기술의 활용방법
가. 무농약․유기농업시 사과원별 문제 병해충 발생 정밀조사가 선결조건이며 단계적으로 접근해야 함. 특히, 심식나방류는 성페로몬 발생예찰 트랩을 설치하여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우점도 파악이 관리 방안 수립에 중요함
나. 친환경 농자재중 병해는 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 해충에는 식물성오일, 유아등, 제충국제, 기계유유제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과실의 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미흡하여 대부분의 사과원에서 피해과율이 극히 높았음
다. 무농약․유기농업시 잎의 갈색무늬병과 사과혹진딧물, 과실의 그을음(점무늬)병과 심식나방류의 피해 경감 재배 관리 및 관련 농자재의 효율적 사용이 가장 중요함. 특히, 과실에 문제되는 병해충의 피해 경감에는 주변 전염원(발생원)의 제거, 봉지 씌우기, 석회보르도액, 교미교란제 등의 처리가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