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나무 병충해

흰비단병

행설 2014. 2. 25. 22:19

흰비단병

 


1. 기주범위
다범성균으로 고구마, 감자 등의 서류 콩, 팥 등의 콩과작물, 토마토, 고추, 담배 등의 가지과를 비롯하여 박과작물, 다년생 사료작물은 물론, 인삼 등 외국에서는 66과 251종의 기주식물이 알려져 있다.
2. 병징과 진단
흰비단병(백견병;白絹病)은 동해, 한해, 수분스트레스 등으로 나무가 쇠약해질 때 발생이 많으며 특히 어린 묘목은 당년에 뿌리 및 지제부가 고사하여 피해가 심하다. 고온다습 조건하에서 맨 처음 나무의 줄기 밑동과 뿌리에 백색 견사(絹絲)와 같은 균사가 생기며 백색구형의 좁쌀만한 균핵을 형성한다.

                

3. 병원균
담자균류의 일종으로 균핵과 자실체(버섯)를 형성한다. 균핵은 껍데기가 얇지만 나중에 착색된 두터운 벽을 구성하며 그 안쪽에 있는 피층부(cortex)는 희미하게 착색된 벽을 갖고 있고 수부(髓部, medulla)는 무색, 불균일한 비후벽(肥厚壁)을 갖고 있다. 피층부와 수부는 저장물질의 주머니를 내포하고 있지만 껍데기에는 이것이 없으며 균핵은 균사상태로 발아한다. 광선 하에서는 균핵 형성수가 암하에서 보다 5배 정도 많이 형성되지만 그 크기는 암하에서 형성된 것의 1/2밖에 되지 않으며 lipids 함량 역시 광하에서 25%까지 감소한다. 균핵 형성 최적온도는 30℃이며 최적 pH는 3이다.
4. 발생생태
이 병원균은 다범성균으로 감자, 고구마 등의 서류, 콩 ,강낭콩, 팥, 땅콩 등의 콩과작물, 토마토, 고추, 담배 등 가지과, 오이, 호박 등의 박과, 사탕무우, 면화, 깨, 인삼, 다년생 사료작물, 다수의 잡초류, 벼의 어린묘 등 일본에서는 66과 251종의 기주식물이 알려져 있다. 토양표층에서 왕성한 부생생활이 가능하며 주로 균핵으로 토양 내에서 장기간 생존한다. 균사상태로 땅 속 10cm까지 분포하고 있고, 균핵은 15cm까지 분포하며 15cm이하에 매몰된 균핵은 잘 발아하지 못한다. 기주상에서는 백색의 부채살균사가 지표면 가까이에 있는 줄기밑동을 뒤덮는다. 부착기는 균총선단부 뒤쪽에서 나온 짧은 분지의 선단이 팽대하여 형성된다. 균핵은 기주가 사멸한 후 까지 발생하지 않는 수도 있다. 자실층 발생은 엽상에서 보고되었지만 자연상태에서는 극히 드문 일인 듯하다. 전염원으로서 중요한 균핵은 균사신장을 제한하는 기계적인 장해물이나 혹은 손상에 의해 촉진되며 또 광선에 의해서도 촉진된다.
5. 방제
토양이 산성화되지 않도록 유의하도록 하며 병 발생원에서는 균핵이 농작업에 의해 분산되지 않도록 한다. 부생성이 강한 이 병균의 높은 전염원 능력의 발달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영양원인 먹이와 접촉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식물 부스러기나 잡초는 긁어모아 땅속 깊이 묻어 버리거나 불에 태워버린다. 잡초의 방제를 위해 제초제를 이용하는 것도 균핵 밀도를 저하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석회를 시용한 토양에서는 50일후 균핵이 거의 사멸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뿌리목 부근의 가벼운 피해일 경우는 흙을 걷어 내고 피해부위를 깍아낸 다음 약제로 소독하고 도포제를 발라 보호한다. 회복되기 어렵다고 판단된 나무는 뿌리를 남기지 않고 완전히 파낸다. 파낸 자리는 토양소독 살균제로 소독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7. 표준영농교본-62 과수 병해충.
1988. 과수 병해 생태와 방제. 농업기술연구소.
APS press. 1990.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사과•배의 병 진단과 방제.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이동혁
전화 : 054-380-3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