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무늬병
흰무늬병
1. 병징과 진단
흰무늬병(백반병; 白斑病)은 처음에는 잎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회갈색 또는 회백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오래된 병반상에서는 흑색의 돌기(병자각 및 자낭각)가 형성되며 육안으로도 식별이 가능하다.
그림1. 잎의 병반 그림2. 분생포자
2. 병원균
병원균은 Leptosphaeria sp.로서 국내에서 동정이 완전히 된 균은 아니다. 완전세대는 Leptosphaeria속이며, 불완전세대는 Phoma속 균이 발견되고 있다. 이 병원균은 자낭포자와 병포자를 형성하며 자낭각은 흑갈색의 구형 내지 편구형이고 자낭은 원통상으로 크기는 80~120×16~20㎛이다. 자낭포자는 양쪽 끝이 가는 6세포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20~32×8~10㎛이다. 병포자는 무색 난형 내지 타원형의 단세포로 크기는 3.5~7.0㎛정도이다.
3. 발생생태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8월 안성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그 피해는 매우 경미하다. 안성지역의 발병률은 0.1% 이하이며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병원균은 주로 이병엽의 병반상에서 병자각 또는 자낭각 형태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안성지역 일부 포장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발병이 확인되지 않고 있고, 상세한 발생소장도 조사된바 없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7. 표준영농교본-62 과수 병해충.
1988. 과수 병해 생태와 방제. 농업기술연구소.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사과•배의 병 진단과 방제.
APS press. 1990.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동혁 (전화 : 054-380-3170)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이동혁
전화 : 054-380-3170